정보창고
양도소득세 신고, 이렇게 실수하면 세금 폭탄! 자주 발생하는 신고 오류 총정리
printong
2025. 3. 20. 14:02
부동산 양도소득세 신고 시 납세자들이 자주 실수하는 사례들을 종합하여 정리해드립니다.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면 양도소득세 신고 시 비과세 및 감면 혜택을 놓치지 않고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1. 상생임대주택 및 거주주택 관련 주요 실수
- 상생임대차계약 특례 미적용: 특례기간(2021.12.20.~2024.12.31.) 내 계약하지 않거나 임대기간 2년 요건 미충족으로 비과세 부인.
- 임대료 증액기준 오류: 임대보증금 반환 후 재계약 시 5% 초과 증액으로 특례 적용 실패.
- 거주주택 비과세 요건 미충족: 임대주택 보유자가 거주주택을 양도할 경우 ‘2년 이상 거주’ 요건 필수. 단, 상생임대주택 특례를 활용하면 거주요건 면제 가능.
- 임대주택 등록 말소 실수: 임대주택 등록을 거주주택 양도 전 말소한 경우 거주주택 비과세 불가. 다만, 의무임대기간 절반 이상 임대한 후 자진말소한 경우 5년 내 양도 시 특례 적용 가능.
2. 상속주택, 자경농지 감면 실수
- 상속주택 비과세 오해: 상속으로 인해 2주택이 된 경우라도 '선순위 상속주택'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비과세 부인.
- 자경농지 감면 요건 오해: 피상속인이 8년 자경했더라도 상속인이 직접 1년 이상 자경하지 않거나 3년 내 양도하지 않으면 감면 부인.
- 상속 부동산 취득가액 신고 오류: 상속받은 건물의 경우 반드시 상속세 결정가액으로 신고해야 하며, 별도의 감정평가액 적용 시 가산세 부과.
3. 수용 및 감면 관련 주요 사례
- 수용 후 잔존 부수토지 양도: 주택 수용일로부터 5년 내 잔존 부수토지를 양도해야 비과세 적용 가능. 5년 초과 시 비과세 불가.
- 수용감면 요건 착오: 사업인정고시일 전 2년 이내 취득한 토지인 경우 수용감면이 적용되지 않음.
4. 장기보유특별공제 관련 실수
- 장기일반민간임대주택 등록 누락: 8년 이상 임대했더라도 민간임대주택 특별법상 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고율(50%~70%)의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을 수 없음.
체크포인트
- 상생임대차계약 요건(기간, 증액제한) 충족 여부 확인
- 거주주택 2년 이상 거주 여부 확인
- 임대주택 등록 유지 상태 확인
- 상속받은 부동산의 취득가액은 반드시 상속세 결정가액으로 신고
- 농지 감면은 ‘8년 자경 + 상속 후 1년 자경 또는 3년 내 양도’ 충족 필수
- 수용감면은 취득 후 최소 2년 이상 보유한 토지에만 적용 가능
양도소득세는 사례별로 비과세와 감면 적용 요건이 매우 세부적으로 규정되어 있어 반드시 주의 깊게 검토해야 합니다. 사전에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국세청 상담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온라인 인쇄주문은 프린통!
▒ 프린통 by dnp ▒
인쇄하청 전문업체, 합판, 독판, 디지털, 마스터, 소량인쇄, 선거인쇄물, 인쇄물실시간자동견적
printong.net